2025 기준중위소득 비율 계산기
공식: 월 세전소득 ÷ (가구원수의 중위소득 100%) × 100 = 중위소득 비율(%)
2025년 가구원수별 중위소득 100%(월)
가구원 | 금액(원/월) |
---|---|
1인 | 2,392,013 |
2인 | 3,932,658 |
3인 | 5,025,353 |
4인 | 6,097,773 |
5인 | 7,108,192 |
6인 | 8,064,805 |
7인 | 8,988,428 |
복지제도나 정부 지원사업을 살펴보다 보면 “기준 중위소득 ○% 이하”라는 문구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중위소득은 무엇이며, 기준 중위소득은 어떤 역할을 할까요?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월 소득을 낮은 순서부터 높은 순서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소득이 높은 일부 상위 가구나 소득이 매우 낮은 일부 가구의 영향을 받는 평균소득과 달리, 중위소득은 극단값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실제 가계 소득 분포의 중앙값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즉,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 소득 중 딱 중간값”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한국에서는 통계청의 자료를 바탕으로 보건복지부가 매년 ‘기준 중위소득’을 고시합니다.
이 기준은 복지정책 및 정부 지원사업의 자격 기준으로 널리 활용됩니다.
예시 – 기준 중위소득의 활용
· 국민취업지원제도: 기준 중위소득의 60% 이하일 경우 1유형 신청 가능
·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 의료급여 등 수급 조건
· 긴급복지지원제도: 위기상황 발생 시 소득 기준 판단
· 보육료·양육수당 등 각종 복지서비스 신청 조건으로도 사용
중위소득과 평균소득의 차이
중위소득: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
평균소득: 전체 가구 소득의 총합을 가구 수로 나눈 값 (극단값의 영향을 받음)
예를 들어, 상위 1%가 매우 높은 소득을 올리는 경우, 평균소득은 왜곡될 수 있지만, 중위소득은 이러한 영향 없이 실제 가계 소득 수준을 반영합니다.
왜 중위소득이 중요한가?
· 복지정책 수급 기준의 핵심 지표
· 소득 양극화 판단 기준으로도 활용
· 가계 소득 분포의 현실적 파악 가능
· 사회안전망 설계의 기준점
중위소득을 통해 정부는 국민의 생활 수준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적절한 정책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 확인하기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8월경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며, 복지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복지서비스 신청 페이지에서도 해당 연도의 중위소득 기준표를 제공합니다.
중위소득은 단순한 통계 수치를 넘어, 우리 사회의 소득 구조와 복지 정책을 설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기준 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제도의 지원 자격을 판단하는 기준선이므로, 본인의 소득이 어느 수준에 해당하는지 파악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